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중위소득이란?
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순위를 매겼을 때, 가운데를 차지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한다.
대체적으로 중산층 가구 비중을 고려할 때는 경제협력개발기구의 기준을 따르는 사례가 많다.
이에 따르면 중위소득의 50% 미만을 빈곤층, 50~150%를 중산층, 150% 초과를 상류층으로 본다.
쉽게 설명하자면,
대한민국 가구를 소득 기준으로 1위부터 가장 마지막 순위까지
일렬로 줄을 쭈욱~ 세웠을 때 정확히 가운데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나타냅니다.
평균 소득의 경우 초고소득 가구로 인해 확 올라가는 경향이 있죠.
이것을 평균의 오류라고 하는데요. 이러한 왜곡을 줄이기 위해서 중위소득을 사용합니다.
2025년 기준 중위소득
기준중위소득은 매년 업데이트됩니다.
정부 및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각종 사업의 신청 기준이 되기 때문에
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하는 개념이에요.
위 표에 기입되어 있는 금액이 중위소득 100% 금액입니다.
참고로 위 금액은 세금을 제하기 전 (세전) 금액입니다.
그리고 주민등록등본에 기재된 가구 구성원 전체 소득의 합을 말합니다.
2025년 기준 중위소득 60% 100% 150%
계산하는 방법은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.
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가구별 100% 값에서 알고 싶은 요율을 곱해주기만 하면 됩니다.
60%, 100%, 150% 값은 아래 표에서 확인을 하시고요.
추가로 필요한 요율 값은 직접 계산해보시면 되겠습니다.
구분 | 중위소득 | ||
60% | 100% | 150% | |
1인 | 1,435,208 | 2,392,013 | 3,588,020 |
2인 | 2,359,595 | 3,932,658 | 5,898,987 |
3인 | 3,015,212 | 5,025,353 | 7,538,030 |
4인 | 3,658,664 | 6,097,773 | 9,146,660 |
5인 | 4,264,915 | 7,108,192 | 10,662,288 |
6인 | 4,838,883 | 8,064,805 | 12,097,208 |
반응형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기도 어린이, 청소년 교통지원금 신청하는 법 (연 24만원, 누구나! 언제나! 신청 가능) (0) | 2025.04.01 |
---|